교도소 7번방에 들어간 아빠
7살 수준의 지능을 가진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빠 이용구(류승룔)는 마트 안전요원으로 일하며 유치원생 예승이와 단 둘이 살고 있습니다. 예승이는 캐릭터 가방을 가지고 싶다고 아빠에게 말하는데 아빠 용구는 그걸 기억하고 있었고, 퇴근길에 캐릭터 가방을 메고 집에 가고 있는 경찰청장의 딸 지영이를 보게 됩니다. 지영이는 시장 골목에서 빙판길에 미끄러져 뇌진탕으로 쓰러지는데 용구가 지영이를 살리기 위해 마트에서 배운 심폐소생술 CPR을 하던 중 지나가던 사람들의 오해로 인해 아동 성폭행범의 누명을 쓰게 됩니다. 당시에는 CCTV가 없었기 때문에 증인들의 증언으로 죄를 뒤집어 썼고, 경찰청장은 딸의 죽음으로 경찰들은 증거 불충분임에도 용구에게 죄를 씌워 범인으로 확정 짓고 수감시키게 됩니다. 7번 방으로 들어가게 된 나쁜 죄질의 용구는 같은 방의 다른 죄수자들에게 폭행과 멸시를 받습니다.
7번 방의 방장이 다른 방의 조폭에게 칼을 맞을 뻔한 일을 구해주었고, 방장이 원하는 것을 말해보라고 하자 예승이를 만나고 싶다고 말하며, 예승이를 7번 방에 몰래 데려옵니다.
작전 억울한 누명 벗기기
예승이가 7번 방에 들어왔지만, 모든 사람들이 처음부터 예승이를 반기지는 않았습니다. 예승이가 감옥에 몰래 들어온 것을 교도소의 누군가 알게 되면, 크게 죄를 물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귀여운 예승이의 간절한 부탁으로 7번 방의 죄수들은 모두 입을 다물어주기로 합니다. 죄수들은 용구와 함께 생활하면서 순수한 모습을 보고 지영이를 죽인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고 그들만의 추리로 용구가 범인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얼마 후 용구의 재판 날이 잡히게 되고 재판에서 용구가 무죄를 받을 수 있도록 7번 방의 죄수들은 할 말을 알려주고 탄원서도 제출합니다. 그렇지만, 예승이를 지키고 싶다면 죄를 인정하라는 경찰청장과 국선 변호사의 압박에 용구는 재판에서 자신의 죄를 인정한다고 시인합니다. 안타깝지만, 용구의 사형이 확정되고 7번 방 죄수들은 용구를 살리기 위해 큰 열기구를 만들고 둘을 탈출시키려 하지만, 열기구가 담벼락의 철조망에 걸려 실패합니다.
예승이의 생일날 용구의 사형이 집행되기로 일정이 잡히며 7번 방의 죄수들은 탄식을 하며 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둘만의 마지막 시간을 보낸 후 용구는 예승이에게 장난스럽게 웃으며 인사를 하며 사형을 당하러 갑니다.
아빠 안녕
용구가 사형을 당하고 15년이 지나 예승이는 사법 연수생이 되었습니다. 사법 연수원 모의재판에서 아빠의 사건을 변호해 아빠의 무죄를 밝힙니다.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이미 아빠가 죽은 것에서 모두들 안타까워합니다. 예승이의 기억 속에서 아빠는 예승이에게 웃는 모습으로 영원히 기억될 테지만, 억울한 누명을 쓴 것에 대해서는 아쉬운 내용이었습니다.
이 영화는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나, 실제 내용과는 전혀 다르게 각색하였습니다. 사건은 안타깝고 슬픈 내용이지만, 연기를 하는 배우들로 인해 코믹스럽게 연출되었습니다. 어린아이인 예승이의 입장에서는 트라우마로 기억될 사건이기에 슬픈 영화로 보이며, 용구 역할의 류승룡이 예승이를 지키기 위한 마음은 감동적이게 표현되어 가족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영화였습니다. 실제로는 실행하기 어려운 장면이 영화에서 억지스럽게 설정되었지만, 코미디 장르라는 관점에서 보면 충분히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 장면들도 있었습니다.
지적장애 아빠를 주제로 한 외국 영화 아이 앰 샘과 비슷한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연출은 다소 부족한 창의력을 보여주어 다소 아쉬운 부분이 많은 영화로 생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