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전망
필자는 12월 1~2일까지 코스피의 상승을 바라보고 있다고 언급드린 바 있습니다. 현재 그 시나리오에 따라 KODEX 레버리지도 같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필자가 코스피의 하락을 보는 이유는 지금까지 말씀드린 바와 같이 M&A, 유상증자, SPAC 주, 미국 원자재 업종의 마지막 신호, 역대급 액면분할, 주기에 의한 신호, 금리 인상으로 인한 유동성 악화 등이 있습니다. 현재 PBR 측면에서 매수해야 한다는 말들이 있으나 필자는 이에 대해 PBR은 2000년대에 0.65~0.69%까지 하락했다고 언급드린 바 있습니다.
코스피 상승에 따라 같이 올라가는 KODEX
또한 하이일드 스프레드에 대해서는 후행성 지표라고 모두 설명드렸습니다. 또한 이유를 알기 힘든 것들을 추가해 보자면 외국인의 특성상 2달을 매수하고 나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급격하게 파는 경향이 있으며 현재 코스피라는 대형 고래가 선회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을 주었으며 이제는 그 시간이 다 되어간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11월 말은 MSCI 리밸런싱이 잡혀 있기에 이번 자금이 유입되면 이 펀드 자금에 모두 던지고 떠날 준비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필자는 대형주들의 경우 12월 초까지만 보고 있는 것입니다. 언제나 팔기 위해서는 그 수요를 충족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어느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발표가 나면 탈출을 원하는 투기자나 투자자는 그 시기에 물량을 넘기고 떠나 오히려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는 시기와 상황별로 모두 다르나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번 경우 물량을 모두 던지고 떠나는 시기라고 판단됩니다. 변동성이 커지거나 정체되어 가는 대형주들 코스피 대형주들의 특성을 보시면 박스권에서 움직이거나 변동성이 커진 대형주들의 특징이 보이실 겁니다. 필자는 이런 경우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봅니다. 변동성이 크다는 것이 꼭 하락의 징조는 아니나 현재 긴축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필자는 역실적장세라고 생각되며 이런 경우 금융긴축이 끝나기 전까지 하락하는 경향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20위권 종목들을 모두 천천히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거래량은 적어졌고 박스권에 갇혀 있으며 마지막 상승에서 변동성을 줄 수 있으나 필자는 보상은 적어지고 리스크는 커진 시장에서 놀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KODEX 레버리지의 하락 가능성은 더 커질 것으로 생각되며 만약 다시 올라가더라도 모양과 거래량이 제대로 된 신호를 줄 때 매수를 하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금은 리스크를 피해야 할 시기라 판단됩니다.
앞으로의 전망
워런 버핏의 첫 번째 원칙은 원금을 잃지 않는 것이며 두 번째 원칙은 첫 번째를 기억하는 것입니다. 스티븐 슈워츠먼이라는 세계 1위의 최대의 헤지펀드 창립자는 모든 경우의 리스크를 먼저 생각한 다음 투자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언제나 숙련된 투기자는 리스크를 먼저 생각하고 보상을 생각하나 초보자들은 보상을 먼저 생각하고 리스크를 생각하지 않다가 하락하면 그때부터 리스크를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차이가 투기를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을 구분 짓게 합니다. 초보자는 언제나 모든 금액을 배팅하고 숙련자는 자신의 확신(확률)에 따라 배팅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그리고 틀렸을 때는 이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손실을 짜게 잡고 다음 이익에서 이익을 길게 가져가 몇 번의 손실을 한 번의 이익으로 채웁니다. 이웃님들께서는 현재 자신에게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언제나 드리는 말씀이지만 투자는 본인이 하는 것입니다. 매도와 매수의 추천이 아니니 참고용으로 사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큰 금액은 한 번에 빠져나갑니다. 필자는 이런 기간에 이런 디테일들을 봅니다. 위의 자료는 외국인들이 2달 합계로 산 코스피의 금액을 보여줍니다. 6조 4천억 정도를 순매수한 것으로 드러납니다. 필자는 위의 금액을 MSCI 리밸런싱 때 모두 던지고 나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하루에 몇 조씩 빠져나갈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언제나 명심하셔야 할 것은 살 때는 조금씩 사지만 팔 때는 뭉텅이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인간의 뇌는 연속성에 의의를 두기에 큰 금액은 잘 빠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길게 본다면 이런 경우는 수없이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2020년 3월에도 몇 조씩 빠져나갔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앞으로 시장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필자의 생각이 맞다면 최악의 경우도 생각해야 할 수 있으나 너무 멀리 보는 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이웃님들께서는 필자가 알려드린 속도와 변동성, 신호를 주시하며 시장을 관찰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경제적 관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막 상승을 바라보는 반도체주와 삼성전자 차트 분석 (0) | 2023.02.25 |
---|---|
우네트워크 코인 (WOO) 정보 분석과 전망 및 내 생각 (0) | 2023.02.23 |
쿠사마 정보 분석과 전망 및 내 생각 (1) | 2023.02.20 |
삼부토건 주가 분석 및 전망과 내 생각 (0) | 2023.02.20 |
모토닉 주가 분석과 전망 및 내 생각 (0) | 2023.02.20 |
댓글